본문 바로가기
재태크

2025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대출

by hoi-know 2025. 6. 14.

“중소기업 다니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전세대출!”
2025년 기준,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(또는 창업자)은
저렴한 고정금리와 넉넉한 한도의 전세대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자격 조건부터 금리·한도·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
 

“중소기업 취업 청년에게 딱 맞는 전세대출이 있다?”

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이라면,
일반 버팀목 전세대출보다 더 낮은 금리와 넉넉한 한도
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을 고려해볼 만 합니다.
특히 첫 집 마련 단계에서 큰 도움을 주니,
신규 입주 준비 중이라면 꼭 살펴보세요.

 


대상 자격 요건

  • 연령·주택 여부:
    만 19~34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 또는 세대주 예정자
    (병역 이행 시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)
  • 중소기업 재직 또는 청년 창업자:
    중소·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청년창업자 요건 충족
  • 소득·자산 기준:
    부부합산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 (외벌이 또는 단독세대주 3,500만 원 이하)
    순자산 약 3.37~3.61억 원 이하
  • 주택 조건:
    임차 전용면적 85㎡ 이하·보증금 2억 원 이하


대출 금리 및 한도

  • 금리:
    고정금리 연 1.2% 수준 (매우 낮음)
  • 한도:
    최대 1억 원 또는 전세금의 100% (또는 보증서 80%)
  • 대출 기간:
    기본 2년, 최대 4회 연장(최장 10년) 가능


장단점 한눈에

장점
초저금리 연 1.2% 고정금리, 일반 대출 대비 월등히 낮음
넉넉한 대출한도 최대 1억 원, 신규 계약 시 전세금 전액 대출 가능
연장 가능성 상황에 따라 최장 10년까지 연장 가능

 

 

 

단점
조건 제한적 중소기업 재직·소득·자산·무주택 기준 등 조건이 까다로움
중복 대출 불가 공공·시중 전세대출과 중복 이용 불가
 

신청 절차 & 필요 서류

  1. 조건 확인
    자격요건(연령·재직·소득·자산·주택)을 먼저 점검하세요.
  2. 대출 신청
  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(우리·국민·신한·농협·하나 등) 또는 ‘기금 e든든’ 홈페이지에서 신청
  3. 소득·재직·주택심사
    서류 제출 후 HUG 등 기관에서 심사
  4. 대출 실행
    승인 시 계약금 지급 계좌로 대출금이 입금됩니다.

필요 서류:

  • 주민등록등본
  • 소득금액증명서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
  • 임대차계약서(확정일자 포함)
  • 재직 증빙(재직증명서·사업자등록증 등)
  • 전세보증금 증빙서류


중소기업 청년이라면 선택이 아닌 필수?

  • 중소기업 재직 중인 청년이라면 일반 전세대출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입니다.
  • 특히 초저금리(1.2%)와 넉넉한 한도는 청년 주거비 부담을 크게 낮춰줍니다.
  • 다만 조건이 까다로워 중복 대출이나 자격 미충족 시 신청이 불가할 수 있으므로,
    사전 확인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🔗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[2025 청년 월세 지원금 신청 방법]

[청년내일저축계좌 2025년 기준 정리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