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태크

20대가 알아야 할 재테크 기본 용어 총정리

by hoi-know 2025. 5. 21.

“재테크 시작하고 싶은데, 용어부터 너무 어려워요...”
CMA? ETF? IRP?
처음 듣는 줄임말과 금융 용어들 때문에 재테크가 어렵게 느껴지셨다면,
지금 이 글 하나로 재테크 기초 언어를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!

 

 

 


모르면 당하는 게 돈의 세계

재테크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바로
“일단 기본 개념부터 알아야 해.”
그런데 문제는, 그 기본 용어부터 너무 어렵다는 거죠.

그래서 오늘은 20대가 알아야 할 재테크 필수 용어들을
쉽고, 간단하게, 예시까지 포함해서 정리해드립니다.

 


재테크 입문자를 위한 필수 용어 12선

1. 통장 쪼개기

월급을 목적별로 나눠 관리하는 방법.
→ 생활비, 저축, 비상금, 소비 등으로 계좌를 구분해서 쓰면 돈의 흐름이 보입니다.

 

2. 신용카드 vs 체크카드

  • 신용카드: 지금 쓰고, 나중에 갚는 구조 (신용 점수에 영향)
  • 체크카드: 내 통장에 있는 돈만 사용 (지출 통제에 유리)

3. CMA 계좌 (Cash Management Account)

짧은 기간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계좌.
→ 비상금이나 단기 여유자금 보관용으로 적합

 

4. ETF (Exchange Traded Fund)

여러 주식이나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펀드 상품.
→ 주식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입문자에게 인기

 

5. IRP (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

개인형 퇴직연금.
→ 은퇴 자금을 모으는 계좌로, 세액공제 혜택이 있어 절세 + 노후 대비 두 마리 토끼 가능

 

6. 펀드 (Fund)

전문가가 대신 투자해주는 자산 묶음.
→ 여러 투자자의 돈을 모아 주식, 채권 등에 나눠 투자하는 방식

 

7. 세액공제 vs 소득공제

  • 소득공제: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 자체를 줄여줌
  • 세액공제: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빼줌
    → 세금 줄이는 방식이 다름, 연말정산 때 중요!

8. 신용점수

금융기관이 내 돈 거래 신뢰도를 판단하는 지표.
→ 신용대출, 전세자금대출 등에 직접적인 영향

 

9. 소비분석 앱

내 소비를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앱.
→ 예: 뱅크샐러드, 토스, 머니브릿지 등

 

10. 마이너스통장

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한 대출 상품.
→ 편하지만 금리가 높고, 과도한 사용은 위험

 

11. 예금 vs 적금

  • 예금: 목돈을 한번에 넣고 이자 받기
  • 적금: 매달 일정 금액을 넣고 만기까지 모으기
    → 이자율, 기간, 목적에 따라 선택

12. 복리의 힘

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구조.
→ ‘복리’로 굴리는 금융상품을 빨리 시작할수록 유리!

 

 

 


개념을 알면 돈이 보입니다

재테크는 결국 ‘돈의 흐름’을 읽고 관리하는 거예요.
그리고 그 흐름을 이해하려면 언어부터 익히는 게 첫걸음입니다.

오늘 정리한 용어 중에서 처음 듣는 게 있었다면,
지금부터 하나씩 실제 금융생활에 적용해보세요.
아는 만큼, 돈도 잘 모이고 잘 불어납니다.

 


🔗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👉 [사회 초년생을 위한 돈 관리 팁 7가지]
👉 [재테크란? 돈을 불리는 기본 개념 정리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