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

혈압 수치별 의미와 위험 신호 구별법

by hoi-know 2025. 5. 16.

정상일까? 위험할까? 내 혈압 숫자, 제대로 읽는 법

 

 


“혈압이 130/85인데, 괜찮은 걸까요?”

혈압을 측정해 봤는데 숫자가 애매할 때,
어디부터 고혈압이고, 어디까지가 정상인지 헷갈리신 적 있으신가요?

게다가 병원에서 말하는 기준, 건강 앱에서 보여주는 수치,
사람마다 하는 말도 다 달라 보여서 혼란스러운 분들 많으실 거예요.

그래서 오늘은 혈압 수치가 의미하는 단계별 기준
위험 신호를 구별하는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
 


Q1. 혈압 수치는 어떻게 읽어야 하나요?

A. 혈압은 두 개의 숫자로 표시되며, 각각의 의미가 다릅니다.

  • 수축기 혈압 (위 숫자): 심장이 수축할 때의 압력
  • 이완기 혈압 (아래 숫자): 심장이 이완할 때의 압력

예를 들어, 120/80 mmHg
수축기 120, 이완기 80을 의미합니다.

✔ 두 수치 모두 의미가 있으며, 한쪽만 높아도 고혈압으로 진단될 수 있어요.

 


Q2. 혈압 수치별 기준은 어떻게 나뉘나요?

A. 아래는 대한고혈압학회와 WHO 기준을 참고한 혈압 단계입니다.

구분수축기 혈압 (mmHg)이완기 혈압 (mmHg)
정상 혈압 < 120 < 80
고혈압 전단계 (주의군) 120–129 < 80
고혈압 1단계 130–139 또는 80–89
고혈압 2단계 ≥ 140 또는 ≥ 90
고혈압 위기 (응급) ≥ 180 또는 ≥ 120
 

'또는' 기준이므로 한쪽만 해당돼도 그 단계로 분류됩니다.
✔ 예: 135/78 = 고혈압 1단계, 118/92 = 고혈압 2단계

 

 


Q3. 고혈압 위기란 정확히 무엇인가요?

A. 혈압이 매우 높은 상태로, 빠른 조치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.

⚠ 고혈압 위기 기준:

  • 수축기 혈압 180mmHg 이상 또는
  • 이완기 혈압 120mmHg 이상

이와 함께 다음 증상이 동반되면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:

  • 갑작스러운 시야 흐림 또는 시야 상실
  • 심한 두통, 어지럼증
  • 가슴 통증 또는 호흡 곤란
  • 언어 이상 또는 마비 증상

✔ 이런 증상은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
Q4. 혈압이 정상인데도 위험할 수 있나요?

A. 숫자는 정상이지만, 갑작스러운 변동이나 불규칙한 변동은 경고일 수 있습니다.

  • 아침에만 혈압이 높거나, 특정 상황에서만 급상승
  • 측정할 때마다 크게 차이 나는 수치
  • 스트레스, 수면 부족, 카페인 등 특정 요인에 민감한 반응

✔ 이런 경우에도 고혈압 전단계나 '마스킹 고혈압' 가능성이 있으므로
기록을 꾸준히 하고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
정리하며 – 내 혈압 숫자, 매일의 건강 신호입니다

혈압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.
오늘 내 몸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자,
앞으로의 건강을 위한 방향키이기도 해요.

하루 한 번이라도 내 혈압을 확인하는 습관은
고혈압 예방은 물론, 심장질환·뇌졸중의 위험도 낮추는 지름길입니다.